dev 132

[MYSQL] TIMESTAMP VS DATETIME

필드 지정시 날짜와 관련이 되면 이전부터 많이들 TIMESTAMP를 사용하였는데요 일단, 둘의 차이점을 알아봅시다 TIMESTAMP만의 특성입니다. 서버의 시간에 의존(UTC에 따라 변형된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될 것 같네요) 범위가 '1970-01-01 00:00:01' UTC to '2038-01-09 03:14:07' UTC로 제한됨 on update CURRENT_TIMESTAMP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쉽게 말하면 DATETIME는 순수하게 상수로 된 날짜로 인식하지만, TIMESTAMP는 서버시간에 의한 의존하는 날짜 개념이죠.(서버 time zone 변경시, 바뀝니다) 해외서버를 사용한다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부분입니다. 국내에서만 사용 할 경우는 별다른 문제가 일어나지 ..

dev/linux 2012.03.20

플래시 버거운 문제점

예전부터 플래시를 HTML코드에 넣을때 embed나 object코드를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표준으로는 object코드를 넣지만 이걸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써 넣는다. 이유 중에 하나가, 그냥 를 삽입하면 마우스 포커스시에, object에 포커스되는 외곽선이 보이기 때문이었는데 스크립트로 넣으면 그런일이 생기지 않는다. 그렇게 시간은 흘렀고 2012년 플래시는 사장되는 분위기지만 여전히 꽤나 쓰이고 있다. 그러다 어제 IE의 메모리 문제와 관련하여 문제점이 또 생겼다. 필자가 쓰던, 코드로 삽입된 플래시가 IE9에서 매우 늦게 뜨는 것이다. 다른 부분이 다 뜨고, 한참이 지나야 뜬다. 심각하다. 개발자 도구로 살펴보니, 쓸데없는 파라미터들이 많이 삽입이 되며, 이상한 CSS가 삽입되는걸 발견했다. ob..

dev/web 2012.03.09

rel=tag의 이해

주로 태그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a태그 내에 속성으로 rel="tag" 식으로 표현을 한다. 이것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있는가?? 필자의 경험으론 그저 "이것은 태그입니다" 정도의 뜻인줄 알았다. 하지만, 좀더 자세히 알아볼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바로, 검색봇들이 태그를 어떤식으로 쓰는지였는데 이것은 생가보다 복잡한 문제라서, 뭐라 떠들 말은 없다. 다만, rel=tag의 정확한 의미를 깨달았다. 가령 컴퓨터 을 포함하는 블로그 포스트 라면 "http://jpss.tistory.com/tag/컴퓨터" 는 컴퓨터태그에 관한 글을 포함하는 고유 페이지를 뜻하고, 위 링크를(rel=tag가 있는) 포함하는 블로그 포스트는 저 고유 페이지에 속한하는 의미를 지닌다. 여러 포스트를 보여주는 블로그 첫페이지에 태..

dev/web 2012.03.07

IE7 버그 - 빈 텍스트 노드

일단 기쁜 소식은 MS에서 IE업데이트는 권장이 아닌, 기본으로 바꿨다는 뉴스~!! 웹개발 버그가 줄어들 것이므로, 기쁜 소식?? 오랜전부터? 사용하던 TABLE코딩 방식이 요즘엔 그나마 적다. TABLE 레이아웃보단, 쿼크모드가 더욱 문제였겠지만 어찌보면 정말 쉬운 레이아웃이다. 마크업에서부터 완전체가 되어나온다는 단점이 있지만, 별 문제없이 사용했지 않은가?? 웹표준이 점차 일반화가 되어가면서 문제는 IE6를 버리는냐 마느냐의 문제였지만, MS도 버려주니, 감사 문제는 IE7인데.. 현재 파악중인 상황이지만, 빈텍스트 노드가 생겨서, 레이아웃을 미묘하게, 기본적으로 여백을 만들어 주신다. ㅠㅠ IE8이상에선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나마 다행이다. IMG INPUT 이 두개는 확실히 빈텍스트 노드를 생성한..

dev/web 2012.02.29

Ajax 동적생성의 커다란 문제점!!

Ajax를 활용한 사이트들이 요즘 많이 눈에 보인다. ajax를 떠나서 사이트 전체가 하나의 클래스 형태를 가지는 경우도 참 많다. 그러다가, 생각한 문제점이 있다. 바로 검색 검색엔진의 봇/스파이더/크롤러라는 놈들이 열심히 웹페이지를 검색를 하지만 페이지상에서, document ready후에 ajax로 어떤 컨텐츠를 생성해서 보여준다고 치자. 사이트는 좀더 다이나믹하게 돌아갈수도 있겠지만 이런 컨텐츠를 검색엔진이 스마트하게 가져갈수 있을까?? 아직은 아니다. 필자가 이전의 블로그 전체를 ajax로 구현을 시도 한적이 있다. 첫째로, 퍼멀링크/고유한 포스트의 링크를 잡는데서 어려움이 있었지만 별문제 없이 구현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이트 첫페이지외에는 전혀 구글 등 검색사이트에 올바르게 노출이 되지..

dev/web 2012.02.27

플래시 개발에 회의를 느끼다.

작년 말이었을 거다. 어도비의 모바일 플래시 지원 중단! 이토록 허망한 뉴스라니 그동안 플래시의 동적움직임과 AS3에 재미를 느끼며, 트위너 클래스를 활용하면서 참 재밌다고 생각했던 플래시였다. 하지만 웹의 발전 흐름에 플래시는 그저 작은 도전? 에 불과한 거였나 보다. HTML5가 보편화되고, 스크립트도 발전하고, 플래시는 희망이 없다. 플랫폼 자체가 웹기반이 아니라, AIR로서 그냥 다시 태어나는 거라고 생가한다. 아무튼, 그동안 수많은 플래시를 공부하던 사람들은 허망함을 나처럼 느끼지 않을까?? 필자도 이제 플래시를 버려야하지만, 아깝다!! 모바일쪽으로 이젠, 희망이 없고, 현재로썬, 아직 웹에선 희망이 있어보이지만, 게임이나 프로모션용 사이트에서나 쓰여지는 것 같다. 혹은 광고? 아무리 생각해도,..

dev/web 2012.02.22

document.all.item의 IE 버전별 작동

쿼크모드의 적!! document.all IE7 ~ IE9 까지 여전히 작동은 하는 듯하다. 그래도 웬만하면 수정하자. 문제는 document.all.item alert(document.all.item) 호출결과 IE7 - 쿼크/IE7표준 -> [object] 반환하며 작동 IE8 - 쿼크 -> [object] 반환하며 작동 IE8 - IE8표준 -> function item(){ [native code] } 반환하며 IE CRASH!!!!!! IE9 - 쿼크 -> [object] 반환하며 작동 IE9 - IE9표준 -> function item(){ [native code] } 반환하지만, 정상작동!! 결론, IE8이상 표준 모드에서만 문제를 발생시킨다..응!? 어차피 웹표준에 맞지 않는 코드라 수정을..

dev/web 2012.02.21

인터넷 익스플로러 깨짐!! 혹은 충돌!! IE Crash

체계화된 사이트 디자인과 그에 따른 코딩을 하기엔 아직, 보편화된 쇼핑몰 솔류션은 그 대안이 되어주지 못하고 있다. 무료서비스인 이런 티스토리 보다도 못한 구시대의 코딩으로 건들리기가 여간 더러운게 아니다. 더럽다. 웹표준이란 말이 점점 낯설지 않게 된 지금 2012년 2월 대체 변한것은 무엇인가? 여전히 사람들은 IE6를 쓴다. 친구와 자주 가던 PC방은 게임 위주의 영업을 한다지만 IE6는 좀 아니지 않은가!? 이미 MS도 "IE는 죽었다" 고 했다. 그럼 뭐해!!변한게 없다.. 현실적으로 20,30대는 그나마 낫다. 40대이상은 대략 답이 안나온다. 아직 컴퓨터에 대해 익숙하지 않으니까 그런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악성코드나..상업적 요소들은 참 보기 거북하다. 하지만, 그런사람들을 타겟으로 하는 사..

dev/web 2012.02.20

파이널 파랜드 : 4개의 봉인

### 2009-07-02 19:58:20 작성됨 때는, 1997년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필자는 친척형과 "EX컴퓨터"라는 상호의 동네컴퓨터 대리점에 가서 처음으로, X업CD를 구입하게 되었으니.. (당시엔 CD라이터기가 엄청난 기계였으므로, 꽤나 큰돈을 지불했던 것 같다. 2만원으로 기억은 하나, 설마 이런 터무니없는 가격이었을까 싶다.) 바로 파이널 파랜드!! PC98버전의 파랜드스토리1을 플레이했었던 필자는 그 당시 이게 무척이나 탐났었지 암튼, 요즘 새로운 관심사인 에뮬레이터들 어느 플스게임정보다 많은 블로그에서 4개의 봉인 PS판이 있다는걸 보았다. 그리고 12년전의 일이 떠올라버린거다. 당시 필자의 컴퓨터는 AMD80486DX-4 100Mhz, SDRAM 16MB정도였다. 충분히 파이널 파랜드..

dev/game 2012.02.18